폐활량검사 관련 용어와 환기기능 장애의 유형

반응형

1. 폐활량검사 관련 용어정리

1)“폐활량검사기(Spirometer)” : 폐의 환기능을 측정하는 기기


2) “용적측정 폐활량검사기(Volume-spirometer)” : 폐활량검사기 중에서 환기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기기


3) “유량측정 폐활량검사기(Flow-spirometer)” : 폐활량검사기 중에서 환기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기기


4) “강제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 공기를 최대한 들어 마신 후 최대한 빠르고 세게 불어 낸 날숨량


5) “1초간 노력성 날숨 폐활량(1초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 강제폐활량 중에서 최초 1초간 불어낸 날숨량

 

6) “용적-시간 곡선(Volume-time curve)” : 강제폐활량을 측정할 때 종축에 용적을, 횡축에 시간을 표시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용적변화를 나타낸 곡선


7) “유량-용적 곡선(Flow-volume curve)” : 강제폐활량을 측정할 때 종축에 유량을, 횡축에 용적을 표시하여 용적의 변화에 따른 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곡선


8) “최고 날숨류속도(Peak Expiratory Flow, PEF)” : 강제폐활량을 측정할 때 가장 빠른 시점의 날숨속도

 

9) “정상 예측치” : 폐활량검사 대상자의 성별, 나이, 키가 비슷한 건강한 인구집단(폐질환이없고 비흡연자이며 유해물질에 노출된 경험이 없는 집단)을 대상으로 폐활량검사를 실시하여 구한 값을 말하며, 폐활량검사 대상자의 정상 여부 판정은 검사 대상자의 검사값을 정상 예측치와 비교하여 정상과 이상으로 구분한다.

 

10) “정상의 아래 한계치(Lower Limit of Normal, LLN)” : 일반 인구집단의 폐활량 검사 값의 정규분포에서 하위 5 백분위수(percentile) 수준


11) “1초율(FEV1/FVC)” : 강제폐활량 중 1초량의 비율


12) “총폐활량(Total Lung Capacity, TLC)” : 전체 폐환기량

 

 

 

2. 환기기능 장애 유형

판정 강제폐활량 1초량 1초율(%)
정상 정상 정상 정상
폐쇄성 환기기능 장애 낮거나 정상 매우 낮음 낮음
제한성 환기기능 장애 낮음 낮음 높거나 정상
혼합성 환기기능 장애 낮음 낮음 낮음
반응형

 

1) 폐쇄성 환기기능 장애


(1) 강제폐활량 검사에서 1초율이 정상의 아래 한계치 미만 또는 70% 미만인 경우로 한다.


(2) 강제폐활량이 감소하나 1초량의 감소가 더 심하여 1초율도 정상보다 낮아지는데, 대부분의 유량-용적곡선에서 처음 부분에 감소가 있는 경우 대기도의 폐쇄를 의미하며 중간부분의 감소는 세기관지의 폐쇄를 의미한다.


(3) 강제호기 1초 이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수검자가 최선의 노력으로 호기하지 않은 경우 판단에 주의가 필요하다.

 


2) 제한성 환기기능 장애


(1) 강제폐활량이 정상의 아래 한계치 미만 또는 예측식의 80% 미만인 경우로 한다.


(2) 제한환기장애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총폐활량의 측정이 필요하다.


(3) 1초량은 강제폐활량이 감소함에 따라 다소 감소할 수 있으나 1초율은 정상범위이거나 정상보다 증가할 수 있다.


(4) 수검자가 최대한 흡기-호기 하지 않아 강제폐활량이 감소한 것과 구분이 필요하다.

 


3) 혼합성 환기기능 장애


(1) 폐쇄성 환기장애와 제한성 환기장애가 동시에 있는 경우로 강제폐활량과 1초율이 정상의 아래 한계치 미만이거나 강제폐활량이 예측치의 80% 미만이고 1초율이 70% 미만인 경우로 한다.


(2) 정확한 제한성의 동반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총폐활량의 측정이 필요하다.


(3) 수검자가 최대한 흡기-호기 하지 않아 강제폐활량이 감소한 것와 구분이 필요하다.


(4) 강제폐활량, 1초량, 1초율이 모두 감소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