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간호진단 : 폐의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1. 일시 : 20XX. 09. 25 ~ 20XX. 09. 28
2.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 “아이의 몸이 뜨거워요”
-. “아이가 열 때문에 힘들어해요”
2) 객관적 자료
-. 몸을 움츠리고 있으며 오한이 있음
-. 9/26 대상자의 체온이 37.7℃(11:50), 38.8℃(20:00)로 측정됨.
3. 간호진단 : 폐의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4. 간호목표
1) 단기목표
-. 대상자는 9월 27일까지 오한 증상이 사라진다.
-. 대상자는 9월 28일까지 37.5℃ 이하의 체온을 유지한다.
2) 장기목표
-. 대상자는 정상 체온범위를 유지한다.
5.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 매일 2~4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2) 치료적 계획
-. 대상자의 옷을 느슨하게 하거나 피부를 노출 시켜 체온이 내려가도록 한다.
-. 처방된 해열제, 항생제를 투여한다.
-. 대상자의 이마 또는 액와에 냉요법(Ice bag)을 적용한다.
3) 교육적 계획
-. 대상자가 충분한 수분섭취와 균형 잡힌 식이섭취를 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 필요시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미온수 목욕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6. 간호수행
1) 매일 정해진 시간에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상태를 확인하였다.
9/26 | 9/27 | 9/28 |
37.7℃ (11:50) 37.0℃ (14:00) 36.5℃ (15:00) 37.5℃ (18:00) 38.8℃ (20:00) 37.6℃ (21:05) 37.2℃ (22:00) |
36.5℃ (02:30) 36.7℃ (06:00) 37.2℃ (08:00) 37.6℃ (15:00) 36.8℃ (17:00) 36.9℃ (19:00) 36.5℃ (22:00) |
36.4℃ (03:00) 36.6℃ (06:00) 36.6℃ (08:00) 36.8℃ (10:00) 36.3℃ (13:30) 37.1℃ (20:00) |
2) 처방된 항생제(Isepacin, Augmentin)를 I.V로 투여 하였다. (9/25~28)
3) 아이의 옷을 느슨하게 하거나 피부를 노출 시켜 체온이 내려가게 하고,
대상자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 하였다.(9/25~28)
4) 27℃ ~ 34℃의 미온수로 10분~15분 동안 미온수 스펀지욕을 실시 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9/27)
7. 이론적 근거
1) 발열은 대사성 소모와 발한, 증가한 호흡으로 인해 수분소실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발열 환자에게 수분 소실량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2) 대상자의 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휴식과 안정으로 신체적인 활동을 최소로 유지해야 한다.
3) 미온수 스펀지욕은 대상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체온을 하강 시킨다.
8. 간호평가 및 재계획
1) 9월 28일 대상자의 체온이 37.5℃ 이하로 유지 되었다.
2) 대상자의 오한 증상이 완화되고 열감이 사라졌다.(9/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