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적 진찰 - 뇌신경 종류 및 기능, 검사방법

반응형

1.  I 후각신경

● 기능 : 냄새의 특수감각 혹은 후각의 기능

 

 검사법 :

검사자가 환자의 한쪽 콧구멍을 막고 눈을 감게 한 다음 반대쪽에 비자극성 물질(커피, 담배, 향수 또는 향신료)로써 후각신경을 검사

양측 또는 편측의 무후각증(anosmia) 유무, 후각성 환각 등을 관찰

 

 

2.  II 시신경

 기능 : 시각

 

 검사법 : 시신경검사 - 시력, 시야, 시신경유두 검사

시력, 대위 시야 측정을 통한 시야검사, 대광반사 등을 시행하고 시야이상, 동공이상 등을 관찰

안저검사를 시행하여 유두부종(papilledema)이나 망막혈관들의 변화, 유두 경계의 불분명을 관찰

 

 

3.  III 동안신경

 기능 :

안구운동근육 중 외직근(외전신경의 지배)과 상사근(활차신경의 지배)을 제외한 모든 동안근의 운동신경

모양체근과 동공수축근의 부교감신경

 

 검사법 : 안구의 운동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검사자가 좌우측, 상하운동을 손가락 혹은 빛으로 유도하면서 피검자의 수평 및 수직 안구운동을 관찰하며, 안구를 좌상, 우상 방향 및 좌하 및 우하로 비스듬히 움직이게 유도한 후 회전운동을 관찰

 

 임상적 의의 : 이상이 있는 경우 안검하수, 동공산대 및 여러 방향의 안구운동장애로 나타나 안구는 외측하방을 향함

 

 

4.  IV 활차신경

 기능 : 상사근의 운동신경

 

 임상적 의의 : 상사근은 안구를 하방 내전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데 이것이 마비되면 하사근의 상대적 작용으로 안구의 외회전을 초래함

 

 

 

5.  V 삼차신경

 기능 :

, 상악 및 하악의 세 개의 가지가 안면의 감각을 지배

저작근의 운동신경

두경부 표피, 부비동, 뇌막, 고막의 바깥쪽의 감각

 

 검사법 :

감각기능검사 - 안면의 감각을 검사(솜 또는 날카로운 핀을 이용)

운동기능검사 - 저작근의 근력 검사

 

 

6.  VI 외선신경

 기능 : 외직근의 운동신경

 

 검사법 : 눈앞 30-50cm 거리에서 검사자의 손가락 또는 지표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머리는 고정한 상태에서 눈만 좌우로 지표를 따라 움직이게 함

 

 임상적 의의 : 일측 외선신경의 마비 시 마비된 측에 외전장애

반응형

 

 

7.  VII 안면신경

 기능 :

안면 표정근의 운동신경

이하선과 피하선을 제외한 모든 두부 분비선의 부교감신경

외이와 고막외부의 감각

혀의 전 2/3의 미각

 

 검사법 :

안면표정근 마비 검사 - 피검자로 하여금 눈을 꼭 감게 한다든지, 이마에 주름을 지우게 한다든지, 사시를 시키든지, 으르렁거리게 한다든지, 이를 드러내보이게 한다든지, 휘파람을 불게 한다든지 혹은 볼을 부풀게 하도록 시켜 안면근 마비 여부 확인

 

미각검사 - 피검자로 하여금 혀를 내밀게 하고 눈을 감게 한 다음 설탕, , 소금 또는 quinine 등의 농축된 용액을 도포 용구를 사용하여 혀의 어느 한쪽에 묻혀 혀를 내민 채로 맛을 식별하도록 함

 

 

8.  VIII 전정 와우신경

 기능 : 반규관에서 시작되는 전정신경과 와우각에서 시작되는 와우신경으로 구분

평형감각과 청각

 

 검사법 :

청력검사

전정기능검사

  -. 전정안구반사 - 앙와위에서 피검자의 머리를 좌우로 움직인 후 머리 회전반대 방향으로 안구가 편위되는 Doll's eye phenomenon

  -. Caloric test - 냉수 혹은 온수를 이용하여 외이도를 자극한 후 안진을 관찰

 

 

9.  IX 설인신경

 기능 :

경부 인두근의 운동신경

이하선의 부교감신경

경동맥소체로부터의 내장감각

혀의 뒤쪽 1/3과 고막내면의 일반감각

혀의 뒤쪽 1/3의 미각

 

 검사법 : 구역반사

 

 임상적 의의 : 설인신경통

 

 

 

10.  X 미주신경

 기능 :

인두, 후두의 운동신경

인두, 후두, 흉부, 복부장기로의 부교감신경

인두, 후두, 장기의 내장감각

인두, 후두, 장기의 일반감각

 

 검사법 : 구역반사

 

 임상적 의의 : 구개, 인두 및 후두마비

 

 

11. XI 부신경

 기능 : 흉쇄유돌근(sternocleido- mastoid muscle) 및 승모근(trapezius muscle)운동신경

 

 검사법 :

피검자의 머리를 옆으로 약간 앞으로 구부리게 하고 검사자의 손으로 막으면서 근력촉진 및 흉쇄유돌근의 수축을 눈으로 확인

승모근은 어깨를 올리게 하고 위에서 검사자가 양손으로 누르면서 근력을 검사하여 양쪽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사

 

 

12. XII 설하신경

 기능 : 구개설근을 제외한 혀의 고유근과 외인근

 

 임상적 의의 : 양측 이설근은 혀를 밀어내는 기능이 있는데 마비시 혀를 내밀 때 혀는 마비측으로 편위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