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흔적, 불검출
1) 검출한계(LOD) : 분석과정을 실시한 후 분석대상물질의 유무를 확인할 수있는 최소 검출농도.
2) 정량한계(LOQ) : 분석대상물질을 합리적인 신뢰성을 가지고 정량적 측정 결과를 산출할수 있는 최소 검출농도.
3) 흔적(TRACE) : 분석 과정을 실시한 후 분석값이 도출되나 LOD이상 LOQ미만으로 도출되는 경우.
→ 작업측정기관 문의 "다른 물질로 인해 황산 '흔적'으로 뜰 수 있는지?"
→ 작측 : "아님. 수치로 산출하지는 못할 정도지만 황산이 있기는 있다는거."
→ 흔적 이상으로 나왔다면 특수건강진단 대상 필수 포함
4) 불검출(ND) : 분석과정을 실시한 후 분석값이 LOD미만인 경우.
2. CMR정보
◎ 발암성(암을 일으키거나 그 발생을 증가시킴)
가. 1A :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나. 1B : 시험동물에서 발암성 증거가 충분히 있거나, 시험동물과 사람 모두에서 제한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다. 2 : 사람이나 동물에서 제한된 증거가 있지만, 구분1로 분류하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는 물질
◎ 생식세포 변이원성(자손에게 유전될 수 있는 사람의 생식세포에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음)
가. 1A : 사람에게서의 역학조사 연구결과 양성의 증거가 있는 물질
나. 1B :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질
① 포유류를 이용한 생체내 유전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시험에서 양성
② 포유류를 이용한 생체내 체세포 변이원성 시험에서 양성이고, 생식세포에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증거가 있음
③ 노출된 사람의 정자 세포에서 이수체 발생빈도의 증가와 같이 사람의 생식세포 변이원성 시험에서 양성
다. 2 :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되어 생식세포에 유전성 돌연변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
① 포유류를 이용한 생체내 체세포 변이원성 시험에서 양성
② 기타 시험동물을 이용한 생체내 체세포 유전독성 시험에서 양성이고 시험관내 변이원성 시험에서 추가로 입증된 경우
③ 포유류 세포를 이용한 변이원성시험에서 양성이며, 알려진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과 화학적 구조활성 관계를 가지는 경우
◎ 생식독성(생식기능, 생식능력 또는 태아의 발생ㆍ발육에 유해한 영향을 줌)
가. 1A : 사람에게 성적기능, 생식능력이나 발육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정도의 사람에서의 증거가 있는 물질
나. 1B : 사람에게 성적기능, 생식능력이나 발육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할 정도의 동물시험 증거가 있는 물질
다. 2 : 사람에게 성적기능, 생식능력이나 발육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의심할 정도의 사람 또는 동물시험 증거가 있는 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