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동물의 혈액형
가축류와 가금류에도 혈액형이 있다. 말과 돼지, 닭 등과 같은 경우에는 사람과 비슷하게 응집반응이 이용되지만 소나 산양 등의 경우에는 혈구에 항체를 적용해도 응집반응이 뚜렷하지 않아서 용혈반응을 많이 이용한다.
동물의 혈액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놀랍게도 혈액형이 매우 다양하다. 소의 경우는 혈액형이 12종 분류에 약 80가지의 혈액형 인자가 검출되며, 말은 7종 20가지 혈액형 인자가, 돼지는 15종 약 39가지의 혈액형 인자로 분류된다!
-. 말의 혈액형 : A, B, D, K, P, Q, U
-. 돼지의 혈액형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 닭의 혈액형 : A, B, C, D, E, H, I, J, K, L, P, Hi, Th
(이러다 Z까지 나올 기세)
(1) 개의 혈액형
제일 궁금한 개의 경우는 어떨까. 개의 경우에는 12개 이상의 혈액형으로 알려져 있다. CEA^(-1)(A)과 CEA^(-3)(B), CEA^(-4)(C), CEA^(-5)(D), CEA^(-7)(Tr)로 나뉘는데 CEA^(-1) 계열로는 CEA^(-1.1), CEA^(-1.2) 등이 있다. 개의 60%는 CEA^(-1.1) 또는 CEA^(-1.2)의 혈액형을 가진다. (티스토리 내에서 수식을 쓸 줄 몰라서 풀어서 썼다..)
CEA^(-1.1)은 CEA^(-1.1)가 음성인 개에게 수혈을 할 경우에 항체 형성을 가장 강하게 자극한다. CEA^(-1.2)는 CEA^(-1.1)에 비하여 항체 형성 자극이 강하지 않다.
수혈 적합성을 위해서는 필요시 교차실험을 통해 혈액을 제공하는 개의 적혈구와 수혈을 받을 개의 혈청을 이용하여 용혈 유무를 관찰함으로써 적합성을 파악한다.
(2) 고양이의 혈액형
고양이의 혈액형으로는 A, B, AB형이 있다. 대부분의 고양이가 A형이고 AB형은 매우 드물다고 한다. B형 고양이는 A형 또는 AB형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 이는 개와 달리 고양이의 경우 첫 번째 수혈이 위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형 또는 AB형을 가진 아기 고양이가 B형을 가진 엄마 고양이의 모유를 빨면서 아기 고양이에게서 적혈구 용혈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동물들의 혈액형을 공부하면서 동물의 혈액형이 사람과 달리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강아지의 경우 대수술 시 수혈받을 혈액팩을 구하기 위하여 전국구로 알아본다고 한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응급수술, 출혈이 많이 발생하는 대수술 시 우리 강아지들이 안정적으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강아지들의 혈액이 많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헌혈 등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