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gout)의 증상 및 치료

반응형

 

1. 통풍이란?

  통풍(gout)이란, 체내에 과잉으로 생산된 요산이 관절에 축적되어 결정화해, 염증을 일으켜 붓기나 통증을 발생시키는 병입니다. 바람이 불어도 아파서 "통풍"이라고합니다.

 

2. 통풍의 증상

  관절에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발근골, 발관절, 무릎관절, 손관절, 어깨관절 등에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통증은 발작적으로 발생합니다. 

 

이 통증의 발작 (통풍 발작)이 반복하는 동안 병태가 악화되어 빈도가 잦아지고, 침범된 관절 수도 많아질 수 있습니다. 신장 결석 · 요관 결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진단

  확실한 통풍의 진단은 발작 중 관절에 요산 결정이 있음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피검사나 관절액을 뽑아 확인합니다. 부가적으로 엑스레이나 CT촬영을 합니다.

 

4. 치료

  통풍의 치료법으로는 약물요법과 생활습관의 개선이 메인입니다. 약물 치료는 통풍 관절염의 치료와 그 배경에있는 고 요산혈증 치료, 이 두 가지로 크게 나뉩니다. 

 

전자는 급성 혹은 만성의 염증을 소퇴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후자에 대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이나 요산 강하약에 의한 약물 치료가 행해집니다. 

 

약물 치료에 대해 통풍 발작이 발생하고 염증이 강할 때는 먼저 NSAIDs를 사용합니다. NSAIDs를 사용할 수없는 환자에게는 스테로이드를 내복 또는 국소 관절 내 주사에 사용합니다. 

 

고요산혈증에 대한 요산 강하제에는 요산 배설 촉진제와 생성 억제제가 있습니다. 요산 배설 저하형 고요산혈증에는 벤즈브로말론, 프로베네시드 등 요산 배설 촉진제를, 요산 생산 과잉형 고요산혈증에는 알로프리놀이나 페부쿠소스타트 등의 요산 생성 억제제를 사용합니다.

 

신장기능장해 등을 동반한 경우에는 요산 생성 억제약이 제1선택이 됩니다. 또, 발작을 반복해 가는 동안에, 발작의 전조를 느끼게 되는 일이 있었을 경우에는 콜히친을 이용해 발작을 억제하기도 합니다.

 

5. 생활상의 주의점

  생활습관의 개선으로는 과식을 줄이고 고기나 생선의 내장이나 건어물과 새우 등, 알코올의 섭취를 삼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분 섭취도 중요합니다.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요산치의 상승을 일으키기 때문에, 부하가 낮은 운동(워킹 등)을 권합니다. 발작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는, 안정·환부 냉찜질이 필요하고, 운동이나 보온은 증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입욕도 삼가합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