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 신생아 활력징후 및 신체 계측(3)

반응형

12. 심장

⑴정상소견

-심첨: 4,5번 늑간, 왼쪽 흉골연에서 측면

-S1보다 약간 날카롭고 높은 음의 S2

 

⑵흔한 변이 또는 사소한 이상

-동성 부정맥 : 심박 수가 흡기에는 증가하고 호기에 감소함

-울거나 긴장 할 때 일시적인 청색증

 

잠재적 곤란 징후

-우심증 : 심장이 오른쪽에 위치

-심첨 전위

-심비대

-심잡음

-진전음

-지속적인 청색증

-과도한 전흉부 움직임

 

 

 

13)복부 : 시진, 청진, 촉진 순으로 진행한다.

정상소견

-: 오른쪽 늑골연 2~3cm아래에서 촉진

-비장: 첫 주말에 끝부분 촉진 가능

-신장: 출생 시 2개의 동맥과 1개의 정맥이 있고 청백색임

-대퇴부 맥박: 양측 동일함

 

흔한 변이 또는 사소한 이상

-제대 탈장

-복직근 이개: 복벽 직근의 분리

-왓슨 젤리: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젤리

 

잠재적 곤란 징후

-복부팽만

-국소적인 팽만

-정맥 확장

-장음 없음

-복수

-눈에 보이는 연동운동

-배모양의 혹은 오목한 복부

-녹색의 제대

-제대에서 소면이나 대변 누출

-단일 정맥 제대

-소량 배뇨 후 촉진 가능한 방광 팽만

-대퇴 맥박 결손

-제대 출혈이나 혈종

 

 

 

14.여아 생식기

정상소견

-음순과 음핵이 보통 부어 있음

-음핵 뒤에 요도구

-음순 사이에 태지

-24시간 내에 배뇨

 

흔한 변이 또는 사소한 이상

-가성 월경: 혈액성 또는 점액성 분비물

-처녀막 폴립

 

잠재적 곤란 징후

- 끝에 요도구가 있는 확대된 음핵

-융합된 음순

-질구결손

-질구로부터 태변 배출

-24시간 내에 배뇨 없음

-음순의 덩어리

-모호한 생식기

 

 

 

15. 남아 생식기

정상소견

-음경 귀두 끝에 요도 개구부

-음망에서 고환 촉지됨

-음낭은 보통 크고, 부어 있고, 흔들거리고 주름져 있으며, 유색 인종에서는 색이 더 짙음

-24시간 내 배뇨

 

흔한 변이 또는 사소한 이상

-요도 개구부가 포피로 덮임

-포피를 당겨올릴 수 없음

-상피진주: 포피 끝의 작고 단단한 흰색 병변

 

잠재적 곤란 징후

-요도 하열: 음경 복면의(아래 쪽의) 요도 개구부

-요도 상열: 음경 후면의(위쪽의) 요도 개구부

-동통성 지속성 발기: 음경 복면의 굴곡

반응형

 

 

16. 등과 직장

정상소견

-척추는 온전하고 개구부, 덩어리, 현저한 굴곡이 없음

-체간 만곡반사

-항문반사

-개방된 항문 개구부

-48시간 내의 태변 배출

 

흔한 변이 또는 사소한 이상

-광선요법시 녹색의 수양성 대변

-극저출생 체중아는 태변 배출 지연

 

잠재적 곤란 징후

-항문 열상 혹은 누관

-밀폐항문

-항문반사가 없음

-36~48시간 내 태변 배출 안됨

-모소낭 혹은 모소동

-척추를 따라 생긴 모방

-이분척추

 

 

 

17. 사지

정상소견

-10개의 손가락과 발가락

-완전한 관절 가동 범위

-분홍색 손톱바닥, 출생 직후에는 일시적인 청색증이 있음

-손바닥의 내츨 2/4에 주름

-손바닥은 보통 평평함

-사지는 좌우 대칭

-특히 굴곡에 대한 저항에서 양측 대칭적인 근력

-동일한 양측 요골 맥박

 

흔한 변이 또는 사소한 이상

-둘째와 셋째 손가락 사이의 부분적인 합지증

-둘째 발가락이 셋째 발가락을 덮음

-엄지와 둘째 발가락 사이에 넓은 틈

-첫째와 둘째 발가락 사이 발바닥의 깊은 주름

-발가락의 길이가 비대칭적임

-엄지발가락이 배굴되고 짧음

 

잠재적 곤란 징후

-다지증: 과다 손, 발가락 수

-합지증: ,발가락의 융합 혹은 물갈퀴 같은 모양

-해표지증: 손이나 발이 몸통에 가깝게 부착

-반지증: 사지 원위부의 결손

-관절의 과유연성

-손톱바닥의 지속적인 청색증

-황색의 손톱바닥

-주름으로 뒤덮힌 손바닥

-손바닥을 가로지르는 (유인원)주름

-골절

-ROM이 없거나 감소

-고관절 탈구 혹은 아탈구

;둔부의 완전 제한

;양쪽 둔부 혹은 다리 주름 차이

;무릎 높이가 다름

;외전시 딸깍하는 소리

-사지의 비대칭

-비대칭성 ROM 혹은 근력

 

 

 

18. 신경계

정상소견

-사지는 항상 굴곡을 유지함

-사지 신전 후에 그 굴곡 자세 유지

-눕힌 상태에서 앉힐 때는 머리를 세울 수 있음

-엎드렸을 때 머리를 옆으로 돌릴 수 있음

-엎드렸을 때 등과 수평으로 머리를 들 수 있음

-지전, 비틀기, 간대성 근경련

-모든 자세에서 현저한 머리 처짐

 

흔한 변이 또는 사소한 이상

-떨거나 일시적인 진전

 

잠재적 곤란 징후

-근긴장저하: 축 늘어져 있고, 머리 조절 저하, 사지가 쳐짐

-과긴장증: 불안정, 팔과손이 단단하게 굴곡되고, 다리는 뻣뻣하게 신전되고 쉽게 놀람

-비대칭적인 자세

-반궁긴장 자세: 마비의 징후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