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nut planet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80)
      • 산업보건 (26)
        • 산업보건자료 (22)
        • 산업보건채용 (2)
        • 응급상황 케이스 (2)
      • 간호학·건강정보 (44)
        • 건강정보 (13)
        • 간호학 자료 (31)
      • 유용한 정보 (8)
        • 기타 정보 (8)
      • 자기개발 (2)
        • 자격증·외국어 (2)
  • 홈
  • 태그
  • 방명록
간호학·건강정보/간호학 자료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의 병태생리 및 진단검사

1. 죽상경화증의 병태생리 죽상경화증이 왜 이렇게 진전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하는 많은 이론들이 있으나 이 중 어느 한 가지도 완전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으며, 죽상경화증을 진전시키는 한 가지만의 이유나 기적은 없고 복합적인 과정이 포함됨을 알 수 있다. 형태학적으로 죽상경화증의 부위는 지방줄(fatty streak), 섬유성 반점(fibrous plaque) 및 복합된 병변(complicated lesion)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지방줄은 죽상경화증의 가장 초기 부위로서 편평하고 노란 지방물질로 채워진 평활근 세포가 튀어나온 것이다. 혈관을 폐색시키지 않으며 원래 모습을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섬유성 반점은 죽상경화증의 다음 단계로 볼 수 있으며 22세 이하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이 부위는..

2023. 1. 25. 10:00
간호학·건강정보/간호학 자료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과 그 원인

1. 죽상경화증이란?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은 동맥 내벽의 국소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특징으로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지방이나 칼슘, 혈액 성분, 당질 및 섬유성조직(죽종)의 축적으로 인해 진행된다. 동맥경화증과 죽상경화증의 병리적 과정이 다르다 할지라도 두 가지는 거의 동시에 나타나고 한 가지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동맥경화증이나 죽상경화증 두 가지는 서로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죽상경화증은 전신 동맥 질환이기 때문에 신체의 어디에서나 나타나게 된다. 동맥내 죽상경화증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직접적인 결과는 혈관강이 좁아지고, 혈전증으로 폐색이 오며 동맥류가 진전되고 파열될 수 있다. 간접적인 결과는 경화된 동맥이 혈액을 공급하는 장기에 영..

2023. 1. 24. 16:04
간호학·건강정보/간호학 자료

뇌종양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1. 뇌종양의 병태생리 원발성 뇌종양은 비정상적인 DNA를 갖는 세포 또는 세포군에서 비롯된다. 뇌종양은 크기, 위치, 침습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시키며, 종양이 커지면 뇌조직을 침범하고 압박하여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종양은 뇌공간을 점유하여 뇌부종도 유발한다. 종양이 성장함에 따라 CSF의 부분적 폐쇄를 초래하며, CSF의 축적은 뇌실을 확장시키고 ICP가 상승하면 수두증이 발생한다. 종양은 두개내에 어디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조직학적으로 양성 또는 악성이든 간에 국소적인 뇌조직의 파괴와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뇌압박과 뇌탈출이 일어나 생명을 잃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두개내 종양의 발생은 서서히 발생하나 예고 징후 없이 갑작스럽게 발병하기도 한다. 2. 뇌종양의 부위에 따..

2023. 1. 23. 10:00
간호학·건강정보/간호학 자료

뇌종양의 원인과 유형

1. 뇌종양 원인 두개내 종양은 신경계에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고 뇌혈관 질환 다음으로 많은 신경학적 문제를 일으킨다. 원발성 두개내 종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신경세포보다는 뇌조직의 지지교세포에서 기원한다. 종양이 자라면서 뇌조직에 침범하여 뇌조직을 대신하고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킨다. 뇌종양은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세포의 돌연변이와 세포성장의 상실을 유도하는 세포성장의 유전적 조절 변화에 의한다. 두개내 종양에서는 분화의 의미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양성과 악성 종양 모두가 발생한다. 뇌종양은 모든 연령층의 사람에서 발견되지만 초기 아동기와 50~70대 성인기에 최고 빈도를 보인다. 아동은 후두와(posterior fossa)의 천막하종양(infratentorial tumor)인 수..

2023. 1. 22. 20:00
간호학·건강정보/간호학 자료

추간판 탈출증(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치료 및 간호

1. 치료 1) 내과적 치료 (1) 침상안정 침상안정으로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킨다. 증상이 심할 때는 2~4일간 단단한 침요 위에서 안정시키며 침상 안정시 다리 밑에 베개를 대 주어 고관절과 슬관절을 약간 굴곡시켜 좌골신경을 이완시킨다. (2) 약물요법 통증을 위한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제, 근육이완제, 때로는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며 급성인 경우 처음 48시간은 얼음주머니를 대주고 그 후는 열을 이용한다. 급성통증이 완화되면 근력강화운동을 실시한다(에어로빅, 보행, 정지형 자전거타기, 가벼운 조깅 등). (3) 자세 반좌위는 추간판 후면의 간격이 넓어지고 전방요추굴절을 증진시켜 등 긴장을 감소시킨다. (4) 견인장치 경추디스크는 부동과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경추칼라(cervical ..

2023. 1. 22. 10:10
간호학·건강정보/간호학 자료

추간판 탈출증(Herniated intervertebral disc)이란?

1. 원인과 위험 요인 추락이나 척추의 굴곡운동, 구부정한 자세에서 반복적으로 물건 들어올리기, 진동하는 기계를 작동하는 일, 심한 육체적 노동, 격렬한 운동, 허약한 복부와 등근육 모두 추간판 탈출증(herniated intervertebral disc)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허리를 굽혀 회전운동하는 것은 추간판에 중대한 긴장을 유발하며, 반복되는 긴장은 추간판을 약하게 하고 결국 탈출시킨다. 퇴행성 또는 단순히 무거운 짐을 들다가 생긴 부담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50% 이상이 이전에 등 손상을 받은 병력이 있다. 유전적인 소인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서 볼 수 있다. 40~60세의 남자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흔히 발생하는 곳으로..

2023. 1. 21. 20:00
  • «
  • 1
  • ···
  • 9
  • 10
  • 11
  • 12
  • 13
  • 14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80)
    • 산업보건 (26)
      • 산업보건자료 (22)
      • 산업보건채용 (2)
      • 응급상황 케이스 (2)
    • 간호학·건강정보 (44)
      • 건강정보 (13)
      • 간호학 자료 (31)
    • 유용한 정보 (8)
      • 기타 정보 (8)
    • 자기개발 (2)
      • 자격증·외국어 (2)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 #보건관리자채용
  • #발암성분류기준
  • #특수건강진단제외
  • #밀폐공간
  • #밀폐공간출입금지
  • #혈액형
  • #COX-1
  • #안전표어우수작
  • #안전슬로건우수작
  • #쇼크 예방
  • #골다공증예방
  • #질식재해예방
  • #안전표어
  • #가스농도
  • #강아지혈액형
  • #골다공증
  • #직장안전
  • #종합검진
  • #직무스트레스평가
  • #발암성분류
  • #밀폐공간목록표
  • #리포옥시게나아제
  • #간호사채용
  • #배치전검진
  • #교통사고 응급조치
  • #작용방식
  • #절단부위 지혈
  • #통증 메커니즘
  • #배치전검진인정기간
  • #밀폐공간작업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Walnut planet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