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nut planet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80)
      • 산업보건 (26)
        • 산업보건자료 (22)
        • 산업보건채용 (2)
        • 응급상황 케이스 (2)
      • 간호학·건강정보 (44)
        • 건강정보 (13)
        • 간호학 자료 (31)
      • 유용한 정보 (8)
        • 기타 정보 (8)
      • 자기개발 (2)
        • 자격증·외국어 (2)
  • 홈
  • 태그
  • 방명록
산업보건/산업보건자료

작업환경측정 결과 : 검출한계, 정량한계, 흔적, 불검출, CMR정보

1.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흔적, 불검출 1) 검출한계(LOD) : 분석과정을 실시한 후 분석대상물질의 유무를 확인할 수있는 최소 검출농도. 2) 정량한계(LOQ) : 분석대상물질을 합리적인 신뢰성을 가지고 정량적 측정 결과를 산출할수 있는 최소 검출농도. 3) 흔적(TRACE) : 분석 과정을 실시한 후 분석값이 도출되나 LOD이상 LOQ미만으로 도출되는 경우. → 작업측정기관 문의 "다른 물질로 인해 황산 '흔적'으로 뜰 수 있는지?" → 작측 : "아님. 수치로 산출하지는 못할 정도지만 황산이 있기는 있다는거." → 흔적 이상으로 나왔다면 특수건강진단 대상 필수 포함 4) 불검출(ND) : 분석과정을 실시한 후 분석값이 LOD미만인..

2025. 9. 5. 11:36
산업보건/산업보건자료

소음으로 인한 생체작용 및 건강장해(청력손실 이명 등)

1. 소음에 의한 생체작용 소음에 의한 청력손실은 잘 알려진 가장 중요한 생체영향이다. 그 외에도 이명, 대화방해, 경고음 감지의 방해, 작업방해, 성가심 및 기타 청각 외 효과가 있다. 소음에 의한 청력손실은 내이의 기능 이상에 의한 것이며 두 가지 기전이 있다. 첫째는 음향성 외상으로 강렬한 강도의 소음이 중이 및 외이에 형태학적 이상을 초래하는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둘째는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지속적인 소음이 코티씨 기관내의 감각수용기의 대사성 및 퇴행성 변화를 초래하여 난청을 일으킬 수 있다. 대개의 직업성 난청은 점진적이고 경과가 만성적이지만 riveting steel같은 큰 소음이나 폭발음엔 단한번의 노출로도 청력손실을 초래한다. 이것을 ‘청각외상(acoustic trauma)’라 한다. 손실..

2024. 1. 20. 09:53
산업보건/산업보건자료

발암성 분류 기준(ACGIH, 국제암연구소, 미국환경보호청, 한국 고용노동부)

미국정부 산업위생 전문가협의회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의 발암성 분류기준 구분 발암성 분류기준 A1 인간에게 발암성이 확인됨(Confirmed human carcinogen) A2 인간에게 발암성이 의심됨(Suspected human carcinogen) A3 동물에게는 발암성이 확인 되었으나, 인간에게는 관련성이 알려져 있지 않음 (Confirmed animal carcinogen with unknown relevance to humans) A4 인간에게는 발암성으로 분류할 수 없음 (Not classifiable as a human carcinogen) A5 인간에게는 발암성을 가지지 않은 것으로 짐작되는 ..

2024. 1. 19. 10:38
산업보건/산업보건자료

밀폐공간 확인 및 목록표 양식, 출입금지 표지, 작업 전 확인 사항

밀폐공간 확인 "우리 사업장에 밀폐공간이 어디 있는지 확인 하십시오” 밀폐공간 작업관리의 첫 시작은 우리 사업장에 밀폐공간이 어디에 있는지, 해당 공간에 어떤 유해요인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는 매우 중요합니다.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9조 제2항 밀폐공간은 반드시 현재 상태가 산소결핍 상태이거나 유해가스로 차 있는 장소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유해가스, 불활성기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누출이나 유입 등의 가능성도 고려하여 밀폐공간으로 분류하고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파악된 밀폐공간은 목록화하여 관리합니다. 사업장 내 밀폐공간 목록표 (예시) 연번 공정명 작업장소 주요 작업내용 작업주기 (작업빈도) 담당부서 (관리책임자) 명칭 특이사항 1 명칭 및 위치 등 내부면적 및 환경조건, ..

2024. 1. 18. 09:15
산업보건/산업보건자료

산안법상 밀폐공간 기준 및 유해가스 별 건강장해

밀폐공간 기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8 1. 지층에 접하거나 통하는 우물·수직갱·터널·잠함·피트 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 가) 상층에 물이 통과하지 않는 지층이 있는 역암층 중 함수 또는 용수가 없거나 적은 부분 나) 제1철 염류 또는 제1망간 염류를 함유하는 지층 다) 메탄·에탄 또는 부탄을 함유하는 지층 라) 탄산수를 용출하고 있거나 용출할 우려가 있는 지층 2.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우물 등의 내부 3. 케이블·가스관 또는 지하에 부설되어 있는 매설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하에 부설한 암거·맨홀 또는 피트의 내부 4. 빗물·하천의 유수 또는 용수가 있거나 있었던 통·암거·맨홀 또는 피트의 내부 5. 바닷물이 있거나 있었던 열교환기·관·암거·맨홀·둑 또는 피트의 내부 6. ..

2024. 1. 17. 15:58
산업보건/산업보건자료

연안법 연구소 연구실 연구활동종사자 특수건강진단 제외 가능한 경우

연구실 내 연구활동종사자의 경우 임시작업 및 단시간작업의 경우 특수건강진단 제외 가능 (발암성 물질,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 생식독성 물질을 취급자는 해당안됨. 특수검진 해야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 약칭: 연구실안전법 ) 제21조(건강검진) ① 연구주체의 장은 유해인자에 노출될 위험성이 있는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하여야 한다. ②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활동종사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연구주체의 장에게 특정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임시건강검진의 실시나 연구장소의 변경, 연구시간의 단축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③ 연구활동종사자는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건강검진 및 임시건강검진 등을 받아야 한다. ④ 연구주체의 장은 제..

2023. 11. 6. 15:54
  • «
  • 1
  • 2
  • 3
  • 4
  • 5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80)
    • 산업보건 (26)
      • 산업보건자료 (22)
      • 산업보건채용 (2)
      • 응급상황 케이스 (2)
    • 간호학·건강정보 (44)
      • 건강정보 (13)
      • 간호학 자료 (31)
    • 유용한 정보 (8)
      • 기타 정보 (8)
    • 자기개발 (2)
      • 자격증·외국어 (2)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 #배치전검진
  • #리포옥시게나아제
  • #안전표어우수작
  • #골다공증예방
  • #통증 메커니즘
  • #직장안전
  • #안전슬로건우수작
  • #종합검진
  • #혈액형
  • #밀폐공간작업
  • #간호사채용
  • #발암성분류
  • #쇼크 예방
  • #발암성분류기준
  • #직무스트레스평가
  • #강아지혈액형
  • #골다공증
  • #작용방식
  • #특수건강진단제외
  • #안전표어
  • #절단부위 지혈
  • #배치전검진인정기간
  • #COX-1
  • #교통사고 응급조치
  • #밀폐공간목록표
  • #밀폐공간출입금지
  • #보건관리자채용
  • #가스농도
  • #질식재해예방
  • #밀폐공간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Walnut planet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